수시입출금식 단기금융상품들은 무엇이 있나?
안녕하세요. 저축을 장기간 하지 못 할 경우나 예금을 장기간 못할 경우 일반 통장에 돈을 그냥 묻어 두는 것보다는 단기 금융상품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이유는 단기금융상품이 일반통장의 이자보다 많기 때문입니다.
단기금융상품의 종류
▶ MMDA(Money Market Deposit Account 수시입출금식 예금)
미국의 은행이 투자신탁회사의 단기금융상품인 MMF(Money Market Funds)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입을 한 상품이며 은행이나 농협, 수협이 취급을 하는 저축성 예금입니다.
MMDA는 예금자보호법이 있어서 5000만원 한도 내에서 보호받을 수 있고 연령제한이 없다는 장점도 있습니다.
▶ MMF(Money Market Fund 수시입출금식 수익증권)
투자신탁회사가 고객의 돈을 모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초단기 금융상품을 말합니다.
목돈이 있는데 바로 사용을 하지 않고 1~2개월 사이에 찾을 가능성이 있는 여유자금은 MMF 상품에 넣어두고, 한 달 또는 6개월 단기투자를 하는 경우 많이 활용이 됩니다.
시장금리의 변동과 무관하게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 할수 있습니다.
▶ MMT(Money Market Trust 콜론형 특정금전신탁)
단기자금 운용 금융상품으로 시가와의 차이가 0.5% 이상 벌어지게 되면, 시가 평가로 전환되어 수익률에 큰 변동이 생길 수도 있는 MMF의 단점을 보완한 것입니다.
수익증권이 아닌 특정 금전신탁의 형태이지만 수익률 과 입출금이 자유롭고 당일 환매 가능한 MMF의 특성을 그대로 따릅니다. 단점으로 예금자 보호를 받지 못합니다.
▶ CMA(Cash Management Account 종합자산관리 계좌)
증권사계좌, 은행계좌를 합친 상품으로 종금사와 증권사에서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. 수시 입출금의 장점과 RP 등에 투자하여 은행 입출금 통장보다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CMA 장점
- 입출금이 자유, 급여이체나 인터넷뱅킹 등 다양한 거래업무 가능
- 금리가 높은편
- 하루를 맡겨도 이자가 지급
CMA 단점
- 예금자보호가 안 됨
- 증권사 지점을 찾기 어려움
'이것저것모든정보 > 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의 주요한 기업 소개 및 핵심 키워드는? 미국 주식 배당 회사 (2) | 2021.10.30 |
---|---|
가상화폐 내년부터 20% 세금 (0) | 2021.07.15 |
SK바이오사이언스 공모주 청약 경쟁률 대단 (1) | 2021.03.10 |
이란 정부 불법 암호화폐 채굴장 1620개 폐쇄 (0) | 2021.01.07 |
회계의 용어 정리 (재무회계,세무회계,관리회계) (0) | 2020.12.05 |